전체 글339 6-1. Thread Basic 쓰레드란? 프로세스 안에서 코드를 실행하는 실행 흐름 프로세스를 만들면 기본적으로 주 스레드 1개가 만들어짐 스레드도 관리 대상이므로 TKO (쓰레드 커널 오브젝트)가 만들어짐 ※ 프로세스에 대한 부연설명 - 프로세스 가상 주소공간에는 다양한 모듈(실행파일, DLL)이 올라와 있음 - 프로세스를 만들면 OS가 PKO (프로세스 커널 오브젝트)로 관리 - 프로세스는 가상 주소공간 + PKO로 구성됨 - 프로세스는 정적인 존재 쓰레드를 만들면? 스택과 TKO가 만들어짐 쓰레드는 동적인 존재 (왜냐하면 직접 코드를 실행하는 실행 흐름이므로) 쓰레드와 병렬 실행 쓰레드는 주 쓰레드 외에 추가로 더 만들 수 있다. CPU가 2개가 있을 땐 2개의 쓰레드를 동시에 실행 가능 CPU가 2개 있을 때 4개의 쓰레드를 .. 2022. 9. 20. 4장-1. 알고리즘 분석-1 상수 함수 f(n) = c 이 때 c = 5, c = 27, c = 2¹⁰과 같이 고정된 임의의 상수임 즉, 어떠한 매개변수 n에 대해 상수 함수 f(n)은 c를 반환함 다시 말해 n의 값에 상관없이 f(n)은 항상 상수 c와 같다. 상수 함수는 간단한 만큼 알고리즘 분석에 유용하다. 왜나면 두 숫자 더하기, 값을 변수에 넣기, 두 개 숫자 비교하기 같은 기본 연산에서 스탭의 수를 특정 지으므로. 로그 함수 자료 구조와 알고리즘의 분석에서 놀라운 것은 로그 함수가 흔하게 사용된다는 것. f(n) = logₐn 이고, a > 1)이 흔하게 사용 됨 특히, logₐn과 같거나 큰 정수 중 가장 작은 정수를 쉽게 계산할 수 있다. 그 이유는 그 숫자가 1보다 작거나 같을 때까지 n을 a로 나눌 수 있는 횟수와.. 2022. 9. 19. 포스팅 참고용) 유니코드 위 첨자 아래 첨자 https://unicode-table.com/kr/sets/superscript-and-subscript-numbers/ 위첨자 및 아래 첨자 번호: ⁰ ¹ ² ³ ⁴ ⁵ Character sets. 위첨자 및 아래 첨자 번호: ⁰ ¹ ² ³ ⁴ ⁵ ⁶ ⁷ ⁸ ⁹ ⁺ ⁻ ⁼ ⁽ ⁾ ₀ ₁ ₂ ₃ ₄ ₅ ₆ ₇ ₈ ₉ ₊ ₋ ₌ ₍ ₎ unicode-table.com 유니코드 테이블 홈페이지 위 첨자 아래 첨자 외에도 유용한 유니코드 많음 https://unicode-table.com/kr/sets/superscript-and-subscript-letters/ 위첨자와 아래 첨자: ᵃ ₐ ᴬ ᵇ ᴮ ᶜ Character sets. 위첨자와 아래 첨자: ᵃ ₐ ᴬ ᵇ ᴮ ᶜ ᵈ ᴰ ᵉ ₑ ᴱ ᶠ ᶢ ᵸ ᴴ.. 2022. 9. 19. 5-4. Stack Memory 스택이란? 지역 변수, 매개 변수를 주로 보관하는 메모리 스택의 특징 스레드 당 한 개의 스택 생성(프로세스는 생성 시 1개의 주스레드를 가짐) 스택은 아래로 자란다 (높은 주소에서 낮은 주소 방향으로 커짐) 스택의 동작 방식 스레드가 만들어지면 1M 가상 공간을 예약한다. 그리고 1개를 확정해 놓고 다음 페이지도 같이 확정하는데 다음 페이지는 확정 시 PAGE_GUARD 보안 옵션을 같이 걸어놓음 PAGE_GUARD는 최초 접근 시 예외를 발생시키는 옵션 (윈도우가 처리) 그래서 현재 페이지를 다 쓰고 다음 페이지에 접근하면 예외가 발생하고 그 시점에서 다시 다음 페이지를 PAGE_GUARD 옵션으로 할당한다. 1M는 총 256페이지를 일컫는데, 곧 0~255개의 페이지를 의미한다. 253번까지 확정하.. 2022. 9. 19. 이전 1 ··· 71 72 73 74 75 76 77 ··· 85 다음